서울시는 2500억원 규모의 ‘서울 Vision 2030 펀드’를 통해 인공지능(AI)과 바이오 스타트업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올해 300억원을 출자하여 12월까지 펀드를 결성할 계획이다. 5일 서울시는 AI 대전환, 바이오, 첫걸음동행이라는 세 가지 분야에서 총 8개 펀드 운용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각 분야에 대한 출자 금액은 인공지능대전환에 150억원, 바이오에 100억원, 그리고 첫걸음동행에 50억원이 배정되며, 첫걸음동행 펀드는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창업 초기기업을 집중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펀드는 엔젤 및 시드 단계의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서울시는 선정된 운용사들이 펀드 출자금의 200% 이상을 서울 내 혁신기업에, 20% 이상을 창업지원시설에 입주하거나 졸업한 기업에 투자할 것을 제안받았다. 이를 통해 초기 기업부터 성장 단계 스타트업까지 폭넓게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운용사 선정 과정에서는 조합 결성 가능성, 운용팀의 전문성, 그리고 재무 안정성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여 우수한 운용사를 선정했다.
특히 올해는 AI 산업의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인공지능대전환’ 분야가 신설되었으며, 이는 AI 반도체, 데이터 분석, 융합 서비스 등 다양한 가치사슬에 자금이 공급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서울시는 선정된 운용사의 결과를 9월 2일 서울시 공식 웹사이트에 공고하고, 선정된 운용사는 3개월 이내에 펀드를 결성하여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시작해야 한다.
서울시의 출자 펀드는 지난 몇 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미래혁신성장펀드’를 통해 1751억원을 출자하여 총 3조6857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1538개 기업에 3조429억원을 투자했다. 이 과정에서 토스, 리벨리온, 퓨리오사와 같은 유니콘 기업이 탄생했으며, 최근에는 아우토크립트가 코스닥에 상장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Vision 2030 펀드는 이러한 성과를 이어가며 2023년부터 2026년까지 5조원 조성을 목표로 하는 후속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올해는 변화하는 산업 수요에 발맞추어 ‘인공지능대전환’ 분야를 신설하였으며,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투자 위축 국면에서도 민간 자금을 끌어들여 전략 산업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서울에서 제2, 3의 유니콘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강조하며, “특히 AI와 바이오 분야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펀드가 든든한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647552?sid=102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