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시밀러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업계의 협력 필요성

지난 5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K-바이오, 혁신에 속도를 더하다’ 토론회에서는 바이오시밀러의 보급률이 해외에 비해 저조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김경아 대표는 이 자리에서 바이오시밀러가 환자 치료 기회를 넓히고 의료비를 절감하는 중요한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처방 비율이 미국, 유럽, 일본에 비해 현저히 낮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의사들에게 바이오시밀러 처방을 장려하는 정책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바이오시밀러의 보급이 더딘 이유로 임상 3상이 지나치게 긴 기간과 높은 비용 부담을 지적하면서,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범위 내에서 3상 심사자료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과 유럽의 규제 기관과의 실무 논의를 통해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업계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를 오는 9월 중으로 발족해 바이오시밀러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의료 현장에서 오리지널 의약품에 대한 선호도가 존재함을 인정하면서, 약가 제도 개편 과정에서 대체 처방과 시밀러 전환 인센티브 제도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 또한 바이오시밀러 장려 정책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약효가 동일한 경우 비싼 오리지널 의약품을 고집하는 것은 부조리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은 바이오시밀러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바이오시밀러 외에도 재생의료 규제특례 확대, 조건부 승인 합리화, 바이오 클러스터 연계 강화,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지원 격차 해소 등 다양한 혁신 과제가 논의되었다. 이는 한국 바이오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대한 발걸음으로 평가된다. 정부와 기업이 함께 협력하여 바이오시밀러 보급을 촉진하고, 국민에게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이다. 특히, 바이오시밀러의 활성화는 환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보다 많은 치료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인 의료 환경의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다.

결국, 바이오시밀러는 단순한 의약품의 복제가 아닌, 혁신적인 치료 방법의 일환으로 자리잡아야 하며, 이를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바이오시밀러의 활성화는 한국 바이오 산업의 미래를 밝히는 중요한 요소로, 관련 분야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108156?sid=105


Comment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