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실리콘밸리 R&D 센터 설립으로 AI 로봇 혁신의 새 시대를 열다

LG CNS가 실리콘밸리에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하며 글로벌 기술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고 있다. 이 센터는 에이전틱 AI와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등 차세대 기술의 발굴과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LG CNS의 해외 진출 전략의 일환으로 여겨진다.

실리콘밸리 R&D 센터는 AI 전환(AX)과 로봇 전환(RX)이라는 두 가지 주요 축을 중심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AX 분야에서는 에이전틱 AI 기술의 연구와 개발에 집중하며, 이를 위해 LG CNS 내부에서 비전AI랩과 멀티모달 AI랩을 이끌어온 김경율 팀장이 센터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AI 기술의 현장 경험이 풍부한 인물로, 이끌어갈 센터의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RX 분야에서는 피지컬 AI의 핵심인 로봇의 두뇌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LG CNS의 현신균 사장은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로봇 학습 데이터 생성 및 로봇 AI 플랫폼 개발에 대한 비전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왔으며, 이를 통해 차세대 로봇 기술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RFM은 로봇이 다양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모델로, 기존의 특정 작업에 최적화된 AI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로봇의 범용성과 적응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구글 딥마인드와 엔비디아와 같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이미 RFM 연구에 힘을 쏟고 있으며, LG CNS는 실리콘밸리에서 로봇의 언어, 이미지, 영상 데이터 등을 RFM에 학습시키는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아직 미개척된 RFM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또한, LG CNS는 실리콘밸리 R&D 센터 설립을 통해 미국 동부에 운영 중인 글로벌 법인과 서부 거점을 연계하여 글로벌 사업 확장의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LG CNS가 실리콘밸리에 진출함으로써 미국 동부와 서부 간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국내 시스템 개발 기업 중 가장 먼저 실리콘밸리에 진출한 사례로, 현지 인력을 선점하고 유망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이해된다.

LG CNS는 최근 AX와 RX 분야 기술 확보를 위해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AX 분야에서는 캐나다의 AI 유니콘 기업인 코히어와 협력하여 에이전틱 AI를 위한 추론형 거대언어모델(LLM) 솔루션과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였으며, RX 분야에서는 미국의 AI 로봇 기업 스킬드 AI와의 전략적 업무협약을 통해 RFM 기술 확보에 나섰다.

또한, LG CNS의 임원단이 곧 실리콘밸리 R&D 센터를 방문할 예정이며, 이는 현지 AI 및 로봇 분야의 전문 인력을 물색하기 위한 목적이다. LG CNS는 R&D 센터 설립 이후로 실리콘밸리의 연구기관과 인근 대학들과 협력하여 AI 및 로봇 분야의 대학생 인력 채용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지 인재 확보는 LG CNS의 실리콘밸리 진출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LG CNS의 실리콘밸리 R&D 센터 설립은 현지 기술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연결고리를 강화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기업들이 현지에 R&D 센터를 보유한 기업에 더욱 친화적인 경향을 보인다고 언급하며, 이는 협력 시 즉각적인 피드백과 기술 연구의 체감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LG CNS의 전략적 결정이 더욱 빛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79599?sid=105


Comment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