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밥나무의 탈모 예방 효과 새로운 기술로 샴푸에 적용된다

최근 국립산림과학원이 이루메디컬에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탈모 예방 성분을 기술 이전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국내에서 자생하는 보리밥나무의 가치를 실질적으로 증명하고, 이를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보리밥나무는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상록 활엽 덩굴나무로, 그 자연적인 특성과 효능이 기대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보리밥나무의 가지에서 추출한 성분이 모유두세포의 활성화를 통해 모발 성장 및 발달에 기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단순히 이론적인 수준이 아닌, 실제로 외용제 형태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원료 제형의 안정성과 임상 적용 안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국립산림과학원은 해당 성분을 특허 등록하였고, 국제화장품원료집에 등재하여 그 공신력을 더욱 높였다.

이루메디컬은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투자포럼 2025’에서 국립산림과학원의 출품 기술을 검토하고, 기술 컨설팅을 통해 이 성분의 기술 이전을 결정하였다. 이번 기술 이전 계약에 따라 이루메디컬은 연간 1억 원의 기술료를 지불하며,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제품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올해 안에 헤어 컨디셔닝 제품과 샴푸에 이 성분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는 동시에, 탈모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식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박사는 “이번 기술 이전은 국내 자생 보리밥나무의 가치를 높이고, 산림바이오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앞으로 여러 업체와의 기술 교류를 통해 연구 성과를 더욱 확장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이처럼 산림과학원과 기업 간의 협력은 연구 결과가 실제 시장에 적용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 기술 이전은 단순히 제품 개발에 그치지 않고, 보리밥나무의 생태학적 가치와 생물 다양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보리밥나무는 이제 단순한 식물에서 탈모 예방이라는 실질적인 효과를 가진 자원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이는 한국의 생물자원 활용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앞으로도 국립산림과학원과 이루메디컬을 비롯한 기업들이 협력하여 연구 성과를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하길 기대한다. 이러한 노력은 결국 국가의 생물산업 발전과 동시에 소비자들에게도 더 나은 제품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04699?sid=101


Comment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