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리셀 플랫폼 포이즌 한국 시장에 도전하다

중국의 개인간 거래 리셀 플랫폼인 포이즌이 한국 시장에 공식적으로 진출했습니다. 이 플랫폼은 글로벌 공급망을 기반으로 한 상품 경쟁력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무료 감별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 리셀 플랫폼 시장에서의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포이즌은 지난 달 말부터 한국어 애플리케이션과 홈페이지를 통해 구매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이 플랫폼에서는 조던, 나이키, 샤넬, 미우미우, 셀린느, 프라다 등 9900개 이상의 브랜드 상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5년에 설립된 포이즌은 중국 최대의 C2C 플랫폼으로, 사용자 수는 약 3억5000만 명에 달합니다.

포이즌의 무료 감별 서비스는 다른 리셀 플랫폼과의 차별화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상품 이미지를 등록하면 AI 기반의 감별 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감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할 때는 글로벌 감별 센터에서 검수가 진행되며, 포이즌은 2200명 이상의 전문 감별사와 자체 개발한 디지털 추적 시스템, 고정밀 검사 장비 등을 활용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포이즌은 지금까지 누적 10억8000만 건 이상의 상품 감별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국내 판매자들이 포이즌을 판로를 넓힐 수 있는 수단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포이즌에 입점한 국내 셀러들은 한국, 미국, 일본, 홍콩, 마카오 등 다양한 국가에 판매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포이즌의 가품 이슈에 대한 신뢰도가 향후 성공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포이즌이 가품에 대한 비판을 극복하고 국내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국내 리셀 플랫폼 시장은 네이버 크림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포이즌의 진출로 인해 다시 한 번 시장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관측됩니다. 최근 무신사가 운영하는 솔드아웃이 사업을 축소하면서, 시장은 크림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크림은 올해부터 해외 직구 사업을 시작하여 중국 직구를 통한 명품 구매가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위조 상품 유통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 송파구에 약 3000평 규모의 최첨단 자동화 물류 설비와 전문 인력이 근무하는 검수 센터를 설립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C커머스 기업의 국내 진출은 앞으로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반기에는 테무가 국내 직진출을 선언했으며, 징동닷컴도 한국 진출을 공식적으로 발표했습니다. 알리바바의 온라인 여행사 플랫폼인 플리기도 알리익스프레스를 통해 국내 서비스를 론칭하였고, 배달 앱 헝그리판다도 서울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한국 시장에서의 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으며, 소비자들에게는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346341?sid=101


Comment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